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는 현재 완료의 평서문과 부정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많이 어려우셨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의문문을 알아볼 텐데요. 다른 시제와 마찬가지로 의문문도 주어와 동사의 순서만 바꾸면 됩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의문문과 함께 경험을 묻는 질문은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이 경우에도 어렵지 않습니다. 정해진 위치에 ever라는 말만 쓰면 되거든요. 먼저 기본적인 어순부터 알아봅시다!
Have | I | started / done / been / gone... |
Has | he | started / done / been / gone... |
Has | she | started / done / been / gone... |
Has | it | started / done / been / gone... |
Have | we | started / done / been / gone... |
Have | you | started / done / been / gone... |
Have | they | started / done / been / gone... |
평서문에서는 have와 p.p형을 함께 썼는데, 의문문에서는 둘의 사이가 떨어졌습니다. 이처럼 의문문에서는 Have / Has + 주어 + 동사의 p.p형의 어순으로 문장을 나타내면 됩니다. 응답의 경우도 알아볼까요?
긍정 | 부정 |
Yes, I have. | No, I have not (haven't). |
Yes, he has. | No, he has not (hasn't) |
Yes, she has. | No, she has not (hasn't) |
Yes, it has. | No, it has not (hasn't) |
Yes, we have. | No, we have not (haven't) |
Yes, you have. | No, you have not (haven't) |
Yes, they have. | No, they have not (haven't) |
질문할 때 Have / Has를 사용했듯이, 응답할 때도 Have / Has를 사용합니다.
예문을 통해 알아볼까요?
Have you cleaned your room? Yes, I have.
너 방 치웠니? 응 치웠어.
이 문장은 주어와 Have의 위치가 바뀌면서 의문을 나타낸 문장입니다. 그리고 응답 역시 Have로 하였습니다.
Has he been to Canada? No, he hasn't.
그는 캐나다에 갔다 온 적이 있어? 아니, 없어.
이 문장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캐나다에 다녀온 적이 있냐고 Has를 사용해 물었죠? 그래서 응답도 Has로 하였습니다. 이때 주의하실 점은 주어에 맞게 Have와 Has를 써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Why have they gone to home? Because they have to do homework.
그들은 왜 집에 갔어? 왜냐하면 그들은 숙제를 해야 하거든.
의문사가 있는 문장도 문제없습니다. 문장의 맨 앞에 의문사를 붙여주기만 하면 되거든요. 다만, 응답은 구체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단순히 Yes or No로 응답하는 것과는 다른 답변이 나와야겠죠?
그리고 여기서 잠깐!
제가 맨 처음에 ever를 사용하여 경험을 묻는 질문은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다고 했었죠? 간단합니다. 의문문에서 주어와 동사의 p.p형 사이에 ever라는 단어만 넣어주시면 됩니다. 예문을 볼까요?
Have you ever been to Canada? Yes, once.
너 캐나다에 가본 적 있어? 응, 한 번.
문장을 보시면 주어인 you와 동사의 p.p형인 been 사이에 ever가 들어가 있죠? 이런 형태의 의문문은 경험을 묻는 의문문이 됩니다. 그리고 이런 의문문에는 once, twice, three times 등의 횟수를 나타내는 표현이 응답으로 자주 쓰입니다. 그렇다면, 전혀 해보지 않았다는 표현은 어떻게 할까요?
I've never been to Canada.
나 캐나다에 한 번도 가본 적 없어.
위 문장처럼 never라는 단어를 쓰시면 됩니다! never도 ever와 마찬가지로 동사 앞에 씁니다. 다만, never의 경우는 의문문에서 쓰이지 않고(저는 아직 의문문에서 쓰이는 경우를 못 봤습니다.), 평서문에서 쓰이기 때문에 Have / Has와 동사의 p.p형 사이에 쓰인다고 보시면 됩니다.
오늘 포스팅은 어떠셨나요? 현재완료는 기본적인 어순 자체는 크게 어려운 점이 없는데, 문장이 표현하는 뉘앙스가 어렵다고 느껴져서 이 어법을 많이 어려워하시는 것 같아요. 하지만, 너무 겁먹지 마시고 많은 문장을 보고, 문맥이나 상황 속에서 이해하는 연습을 해보고, 스스로 영작도 해본다면 다른 시제들처럼 쉽게 느껴지는 날이 오지 않을까요?
감사합니다 :D
본 포스팅의 내용은 도서 Essential Grammar in Use의 내용 일부를 참고하였습니다.
'기초 영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완료와 자주 함께 쓰이는 시간 표현들 (0) | 2022.10.02 |
---|---|
현재완료의 의문문 (기간을 묻는 질문) (0) | 2022.10.01 |
현재완료 (2) | 2022.09.29 |
미래 시제 (현재 진행형을 사용한) (0) | 2022.09.28 |
미래 시제 (be going to + 동사 원형)의 의문문 (0)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