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제 완료 시제의 마지막 시제! 드디어 미래 완료 시제에 대해서 알아볼 차례입니다.
미래 완료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시제는 미래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미래 완료란 지금 현재에 발생한 일이 미래의 어느 시점까지 완료, 경험, 계속, 결과적인 의미가 이어진다는 것을 표현하는 시제입니다.
그래서 해석된 문장을 보면 '미래의 어느 시점이면 ~하게 될 것이다', '미래의 어느 시점이면 ~이 될 것이다'와 같은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그럼 먼저 기본적인 어순을 알아보겠습니다.
I will have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He will have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She will have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It will have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We will have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You will have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They will have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위의 표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미래 완료는 미래를 나타내는 조동사Will이 포함됩니다. 이때 주의하실 점은 주어가 3인칭 단수(He, She, It)라 할지라도 will 다음에는 꼭 Have로 써주셔야 합니다. 단독으로 쓰일 때처럼 Has로 쓰시면 안 됩니다!
그렇다면 예문을 통해 이 시제가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I will have finished my work next monday.
다음 주 월요일이면 나의 일을 다 끝낼 것이다.
이 문장은 미래 완료를 사용하여 완료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음 주 월요일이면 나의 일이 다 끝날 것이다'라고 지금의 시점에서 보았을 때 미래의 특정 시점에 일어날 일을 미래 완료 시제를 사용해 나타냈습니다.
They will have been to the NY third times if they visit there this Christmas.
만약 그들이 이번 크리스마스에 뉴욕에 간다면 그들은 뉴욕에 세 번째 간 것이 될 것이다.
이 문장의 경우는 경험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크리스마스라는 미래 시점에 그들이 뉴욕에 간다면 뉴욕에 방문한 것이 세 번째가 될 것이라고 미래의 경험에 대해 설명하는 문장이 되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부정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Have뒤에 not만 붙여주면 되거든요.
I will have not (haven't)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He will have not (haven't)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She will have not (haven't)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It will have not (haven't)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We will have not (haven't)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You will not (haven't)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They will have not (haven't) | studied / gone / worked / bought / been / eaten... |
By next year he will have not (haven't) met her for two years.
내년이면 그가 그녀를 만나지 않은지 2년째가 된다.
이 문장은 계속을 나타내는 문장의 부정 표현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By+시간 표현을 함께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The semester will have not (haven't) finished until november.
11월까지는 학기가 끝나지 않을 것이다.
이 문장은 결과를 나타낸 문장입니다. 그런데 부정문으로 나타낸 문장이죠. 11월까지는 학기가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다시 말해, 학기가 끝나는 결과가 일어나지 않을 것을 나타낸 문장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어떠셨나요? 저는 현재나 과거만큼이나 미래도 뉘앙스 때문에 완료 시제가 어렵게 느껴진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미래 완료가 완료 시제의 마지막이니 포기하지 마시고 끝까지 공부해봅시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미래 완료의 의문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
'기초 영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완료 진행 (0) | 2022.10.12 |
---|---|
미래 완료 시제의 의문문 (0) | 2022.10.11 |
과거 완료 진행의 의문문 (2) | 2022.10.08 |
과거 완료 진행 (2) | 2022.10.07 |
과거 완료 시제의 의문문 (0) | 202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