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 영어 문법

조동사 may / might

안녕하세요!

첫 포스팅부터 지난 포스팅까지 시제에 관한 영문법 학습을 모두 마쳤습니다. 그리고 지난 포스팅들과 함께 시제 공부를 끝내신 분들도 축하드립니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새로운 내용인 조동사에 대해서 배워보려고 합니다. 먼저 조동사란, 문장 내에서 우리가 잘 아는 일반 동사들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동사 앞에 도울 조(助)라는 한자가 붙어 조동사라는 이름이 생겨난 것이죠. 우리말에서도 도울 조(助)가 앞에 붙은 것처럼 영어에서도 조동사는 일반 동사의 앞에 위치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첫 번째로 조동사 may와 migh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may와 might는 '~일지도 모른다'라는 가능성이나 추측을 나타내기 위해서 쓰인다고 가장 많이 알고 계실 텐데요. 이외에도 허가나 부탁, 제안, 소망을 나타내기 위해서 쓰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제가 may와 might를 함께 말씀드렸죠? 두 단어 모두 다 현재나 미래에 어떤 일이 가능하거나 혹은 어떤 일이 발생할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might는 may보다 확신의 정도가 더 약하다는 것이죠. 그리고 간혹 'might는 may의 과거형이 아닌가?' 하시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그것은 잘못 알고 계시는 겁니다. 두 단어 모두 다 현재와 미래를 나타내는 단어이고, 과거형은 따로 있습니다 (하지만 기초 수준에서는 현재형만 먼저 배우겠습니다.). 또한 허가나 승인 등을 묻는 질문에서도 can이나 could보다 훨씬 더 정중하고 격식있는 상황에서 쓰입니다. 그럼 먼저 기본적인 어순을 알아보겠습니다.

 

I may / migh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He may / migh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She may / migh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It may / migh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We may / migh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You may / migh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They may / migh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조동사가 포함된 문장을 쓰실 때 주의할 점은

1. 조동사는 인칭이 3인칭(He, She, It...)이더라도 항상 원형으로 씁니다.

2. 조동사와 함께 쓸 때는 일반 동사도 항상 원형으로 씁니다.

그럼 이제 예문을 알아볼까요?

 

 

 

I may go home early today. / I might go home early today.

나는 오늘 집에 일찍 갈지도 몰라 (갈 것 같아.). / 나는 오늘 집에 일찍 갈 수 있을지 모르겠어. 

둘 다 같은 의미의 문장입니다. 하지만 제가 다른 조동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표현했죠? 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may와 might는 확신의 정도가 다릅니다. may는 더 강한 추측이나 가능성을 나타내고, might는 그보다 약한 정도의 추측이나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They may win. / They might win.

그들이 이길지도 몰라. / 그들이 이길 가능성이 없진 않아.

이 문장에서도 뉘앙스의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예문에서 뉘앙스의 차이를 나타내기가 쉽지 않네요;; 하지만 분명히 might는 may보다 약한 정도의 확신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입니다.

 

 

 

이제 부정문을 알아볼까요?

 

I may / might no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He may / might no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She may / might no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It may / might no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We may / might no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You may / might no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They may might not study / come / go / be / watch / read / know...

 

He may not study until midnight. / He might not study until midnight.

그는 자정까지 공부하지 않을거야. / 그가 자정까지 공부할 일은 거의 없어.

부정문의 경우에는 may나 might의 뒤에 not을 붙여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might의 경우 부정 표현에서 mightn't라고 줄여서 표현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I may not watch the movie with him. / I might not watch the movie with him.

나는 그와 영화를 안 볼 것 같아. / 내가 그와 영화를 볼 일은 거의 없어.

이 문장도 마찬가지입니다. 조동사 뒤에 not이 붙어 그런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없을 것 같다는 부정의 표현을 나타낸 문장이죠.

 

 

 

이번 포스팅에서 처음으로 배워본 조동사였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셨나요? 저는 조동사도 완료 시제만큼 뉘앙스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는 의문문과 함께 may와 might를 사용한 허가, 승인 등이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

 

 

 

 

본 포스팅의 내용 일부는 도서 Essential Grammar in Use의 내용 일부를 참고하였습니다.

'기초 영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can / could  (0) 2022.10.18
may와 might의 의문문  (0) 2022.10.17
미래 완료 진행의 의문문  (0) 2022.10.13
미래 완료 진행  (0) 2022.10.12
미래 완료 시제의 의문문  (0) 202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