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명사의 복수형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는 것처럼 명사의 맨뒤에 -s를 붙여서 써주면 되는데, 가끔은 -es를 붙여서 써야 할 때도 있고, 명사의 맨 끝 부분이 어떤 알파벳으로 끝나냐에 따라 원래 명사의 형태에도 변화가 생기는 경우가 생깁니다. 예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1. 먼저, 복수형이 –es를 붙여서 형성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는 단어의 맨 끝이–s, -sh, -ch, -o, -x로 끝날 때입니다.
ex) bus – buses / church – churches / tomato – tomatoes
2. 그리고 이번엔 단어의 원래 형태가 바뀌는 경우입니다. 만약, 원래 단어가 –y로 끝난다면, 복수형에서는 –ies로 바꿔씁니다.
ex) baby – babies / party – parties
3. 그런데, -y로 끝나는 단어라도 –ay, - ey, -oy로 끝나는 경우는 명사의 원래 형태를 바꾸지 않고 –s만 붙여서 복수형을 만듭니다.
ex) day – days / monkey – monkeys / boy – boys
4. 그리고 명사의 마지막이 –f나 –fe로 끝나는 경우에도 명사의 원래 형태가 –ve로 달라집니다.
ex) knife – knives / shelf – shleves
5. 이번에는 단수형과 복수형이 동일한 경우가 있습니다. 주로 두 개가 한쌍을 이루는 단어들인 경우가 그렇죠.
ex) scissors / shorts / glasses / pyjamas
그리고 이런 단어들은 문장 속에서도 복수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면 이렇습니다.
ex) Where are your glasses? I didn’t use them.
I bought a pair of shorts yesterday.
(두 개가 한쌍을 이루는 단어의 경우 a pair of~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6. 마지막으로, 단수형과 복수형이 완전히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단수형과 복수형의 명사의 형태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ex) man – men / woman – women / tooth – teeth / person – people
7. 또한, 단수형과 복수형의 형태가 완전히 같은 경우도 있습니다.
ex) sheep – sheep / fish – fish
이번 포스팅은 많이 헷갈리실 듯합니다.. 비슷비슷한 규칙이 많아서 외울 것도 많거든요. 하지만, 문법을 정확히 구사하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니 헷갈리더라도 끝까지 잘 외워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D
본 포스팅의 내용 일부는 도서 Essential Gramamr In Use의 내용 일부를 참고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