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 영어 문법

명령문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까지 조동사에 관한 내용을 모두 끝냈습니다. 저와 함께 제 포스팅을 통해 조동사를 공부하셨던 모든 분께서 어려운 내용을 잘 이해하셨기를 바랍니다.

그럼 이번 포스팅부터는 새로운 내용을 공부해보겠습니다. 오늘은 상대방에게 특정한 행동을 하라고 요구하는 내용의 문장인 명령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우리가 기초 수준에서 알아볼 명령문은 크게 3가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1. ~을 해라 : 어떤 특정한 행동을 하라고 요구할 때 쓰이는 명령문입니다.

2. ~을 하지 마라 : 1번의 경우와는 반대로 어떤 특정한 행동을 하지 말라고 요구할 때 쓰이는 명령문입니다.

3. ~을 하자 : 이 경우는 상대방에게만 어떤 행동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말하는 나와 함께 그 행동을 하자고 할 때 쓰이는      명령문입니다. 사실 명령문이라기보다는 권유나 제안이라고 하는 것이 조금 더 정확한 표현이겠지요.

 

 

그럼 1번의 경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이 경우에는 다른 문장들과는 달리, 주어가 따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상대방이 했으면 하는 행동을 문장의 맨 앞에 쓰면 됩니다. 이 경우에는 어순을 따로 정리하지 않고 예문을 바로 보여드리겠습니다.

 

 

Clean your room!

네 방 좀 치워라!

이런 식으로 주어 없이 동사를 맨 처음에 등장시켜 문장을 구성하면 됩니다. 그리고 이때 동사는 원형으로 쓰셔야 합니다.

 

 

Please be quiet!

조용히 해주세요!

이 경우에는 문장의 맨 앞에 please가 붙었죠? 이렇게 명령문에 please가 붙으면 조금 더 공손함을 나타내는 문장이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단순히 명령문이라기보다는 부탁하는 뉘앙스를 나타낼 수 있죠. 추가로 말씀드리자면 please는 문장의 맨 앞에 올 수도 있지만, 맨 뒤에 쓸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 예외적인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have라는 동사인데요. have 뒤에 좋은 내용의 표현이 등장하면 형태는 명령문이지만, 의미는 인사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Have a nice day! / Have d good time! / Have fun!

좋은 하루 보내! / 좋은 시간 보내! / 즐거운 시간 보내!

위의 문장들처럼 주어 없이 동사로 시작하지만, 명령문이 아닌 좋은 의미를 나타내는 인사처럼 쓰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Have some cookies.

쿠키 좀 먹어봐.

이런 경우에는 우리가 바로 앞에서 배웠던 ‘Would you like.?’이라는 문장처럼 무언가를 권유하는 표현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2번의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번은 ~을 하지 말라는 금지의 의미를 나타내는 명령문이죠? 이럴 때는 문장의 맨 앞에 Don’t를 써주시면 됩니다. 나머지는 1번의 경우와 같습니다. 이번에도 예문을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Don’t watch TV too much!

TV 너무 많이 보지 마!

금지를 의미하는 명령문도 주어 없이 문장을 구성합니다. 그리고 문장의 맨 앞에 Don‘t를 쓰고, 동사는 원형으로 써주시면 됩니다. 어렵지 않죠?

 

 

Please don’t be mad at me!

저한테 화내지 마세요!

금지를 나타내는 명령문을 쓸 때도 please를 함께 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공손하게 금지를 나타내는 문장이 될 수 있겠죠.

 

 

 

이번엔 마지막으로 무언가를 함께 하자고 권유하는 3번의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3번의 경우에도 기본적인 명령문 앞에 Let’s라고 하는 표현이 포함됩니다. 물론! 문장의 맨 앞에 씁니다.

 

 

Let’s go to the picnic.

우리 소풍 가자.

물론 문장에는 우리를 의미하는 단어가 쓰여 있진 않지만, 이럴 때 우리 함께 ~을 하자라는 의미로 해석합니다. 명령문이라기보다는 권유나 제안을 의미하는 문장으로 쓰이죠.

 

 

 

그럼 Let’s가 포함된 문장의 부정문은 어떻게 쓸까요? ‘Let’s don't. ‘이렇게 쓰지는 않습니다. not을 붙여서 씁니다. 예문을 볼까요?

 

 

Let’s not watch TV too long tonight. Let’s sleep early.

오늘 밤에는 TV 오래 보지 말자. 일찍 자자.

이렇게 쓰면 부정문이 됩니다. don’t가 아닌 not으로 부정문을 나타내는 것이죠. 그리고 이때에도 동사는 원형으로 쓰고, 주어는 쓰지 않습니다. 간단하죠?

 

 

 

 

이번 포스팅은 어떠셨나요? 명령문은 지킬 것만 잘 지키면 그리 어렵지 않은 문법 요소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인 따로 어순을 설명할 필요도 없을 정도니까요. 여러분은 어떠셨나요?

그럼 저는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

 

 

 

 

본 포스팅의 내용 일부는 도서 Essential Grammar in Use의 내용 일부를 참고하였습니다.

 
 

'기초 영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re is... there are...  (0) 2022.11.05
~하곤 했었다 : used to ...  (0) 2022.10.31
Would like to의 의문문  (0) 2022.10.28
조동사 Would like to~  (0) 2022.10.26
have to의 의문문  (0) 2022.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