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거에 있었던 일이나 과거의 상태에 대해 말하는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동사 use to를 사용한 표현인데요. 해석은 ‘~하곤 했었다’, ‘~이었었다’라고 해석하며,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의미까지 포함합니다. 다시 말해 ‘예전엔 ~했었는데 or ~였었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라는 문장이 되는 것이죠. 그리고 이 문장은 단순히 과거에 있었던 일을 표현하는 문장이 아니라 습관처럼 과거에 자주 했던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단순 과거형과는 비교되는 문장입니다.
먼저 표를 통해 기본적인 어순을 알아보겠습니다.
I used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He used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She used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It used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We used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You used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They used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I used to read a newspaper when I was a student.
내가 학생이었을 때 나는 신문을 많이 읽곤 했다.
위의 문장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정확한 어순은 ‘used to + 동사 원형’입니다. 그리고 과거형으로 쓰이는 동사는 use뿐입니다. to 뒤에 등장하는 동사는 원형으로 쓰셔야 합니다. 한가지 더 말씀드리자면, 이 문장에서는 과거의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이 함께 쓰였지만, 꼭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used to 만으로도 ‘지금은 그렇지 않지만 예전엔 그랬었다’ 라는 의미를 나타내주니까요.
We used to drink coffee.
우리는 커피를 마시곤 했었다.
이렇게 과거를 나타내는 표현을 안 쓰셔도 커피를 마시는 행동은 지금이 아닌 과거에만 했었다는 것을 나타내줍니다.
그럼 이번엔 부정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정문은 어떻게 표현할까요? ‘not used to + 동사원형’이라고 쓸까요? 아닙니다. 정답은 ‘didn’t use to + 동사원형‘이라고 씁니다. use가 동사이기 때문에 do의 과거형인 did를 쓴 것이죠. 표를 통해 정확한 어순을 알아보겠습니다.
I didn't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He didn't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She didn't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It didn't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We didn't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You didn't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They didn't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She didn’t use to watch sport match.
그녀는 스포츠 경기를 보지 않았었다.
부정문은 이렇게 씁니다. 이런 경우에 해석은 위의 예문과 같이 ‘~하지 않았었다.’, ‘~이 아니었다.’로 하시면 됩니다.
He didn’t used to be a professional athlete.
상태를 나타내는 문장의 경우, 위의 문장처럼 동사로는 be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른 예문들처럼 ‘~을 했었다.’가 아닌, ‘~이었었다.’라는 의미의 문장을 나타내실 경우입니다.
그럼 이번엔 마지막으로 의문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의문문의 경우 주어와 used의 순서만 바꾸면 될 것 같지만! 이번엔 그렇지 않습니다. 방금 부정문에서 사용했던 did를 다시 한번 사용해서 나타냅니다. 표를 통해 어순을 알아볼까요?
Did I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Did he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Did she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Did it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Did we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Did you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Did they use to |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
응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긍정 | 부정 |
Yes, I used to. | No, I didn't use to. |
Yes, he used to. | No, he didn't use to. |
Yes, she used to. | No, she didn't use to. |
Yes, it used to. | No, it didn't use to. |
Yes, we used to. | No, we didn't use to. |
Yes, you used to. | No, you didn't use to. |
Yes, they used to. | No, they didn't use to. |
Did you use to eat toamtoes when you were a child? No, I didn’t use to.
네가 어렸을 때 너는 토마토를 먹었었니? 아니, 먹지 않았어.
이렇게 쓰시면 됩니다. 문장의 맨 앞에 did를 쓴 뒤, 그 뒤에 등장하는 use와 다른 동사들은 원형으로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뒤에 등장하는 응답 또한 used to를 사용해서 하시면 됩니다.
What did they use to have for lunch? They used to eat sandwich.
그들은 점심으로 뭘 먹곤 했니? 샌드위치를 먹었었어.
의문사가 포함되는 문장이라면 문장의 맨 앞에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응답은 그에 맞게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시켜 하시면 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어떠셨나요? 조동사 이후부터는 포스팅마다 완전히 새로운 표현을 배우다 보니, 재미있기도 하고 그만큼 영어 실력이 성장하는 것 같아서 뿌듯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 표현을 쓰실 때 주의하실 점이 있습니다. used to는 과거형으로만 쓰이는 표현이므로, 현재의 사실을 나타내겠다는 의도로 use to라고 쓰시면 안됩니다! 현재의 사실이나 습관을 말씀하시고 싶으실 땐 그냥 단순현재형으로 쓰시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use to라는 표현은 절대로 현재의 사실이나 습관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이 점에 유의하시면서 오늘 배운 used to도 연습 많이 해주세요!
그럼 저는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
본 포스팅의 내용 일부는 도서 Essential Grammar in Use의 내용 일부를 참고하였습니다.
'기초 영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re was / were, there have / has been, there will be (0) | 2022.11.06 |
---|---|
there is... there are... (0) | 2022.11.05 |
명령문 (0) | 2022.10.29 |
Would like to의 의문문 (0) | 2022.10.28 |
조동사 Would like to~ (0) | 2022.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