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5)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산 명사 / 불가산 명사 안녕하세요! 이제까지 명사의 단수형과 복수형을 어떻게 나타내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영어에서는 명사를 ‘셀 수 있는 것’과 ‘셀 수 없는 것’으로 구분하여 ‘셀 수 있는 명사’는 단수형과 복수형으로 나누어 쓸 수 있도록 해놓았지만, ‘셀 수 없는 명사’의 경우에는 오직 단수형으로만 쓰도록 해놓았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명사들이 ‘셀 수 있는 명사’일까요? 주로 우리가 개수를 직접 셀 수 있는 물건, 사람, 동물입니다. 이런 경우는 우리가 한 개, 두 개 등으로 셀 수 있으니까요. 그렇다면 ‘셀 수 없는 명사’는 어떤 명사일까요? 이런 경우는 우리가 개수로 셀 수 없는 추상적인 명사이거나 양이 너무 많을 경우입니다. 예를.. 명사의 복수형 표현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명사의 복수형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는 것처럼 명사의 맨뒤에 -s를 붙여서 써주면 되는데, 가끔은 -es를 붙여서 써야 할 때도 있고, 명사의 맨 끝 부분이 어떤 알파벳으로 끝나냐에 따라 원래 명사의 형태에도 변화가 생기는 경우가 생깁니다. 예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1. 먼저, 복수형이 –es를 붙여서 형성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는 단어의 맨 끝이–s, -sh, -ch, -o, -x로 끝날 때입니다. ex) bus – buses / church – churches / tomato – tomatoes 2. 그리고 이번엔 단어의 원래 형태가 바뀌는 경우입니다. 만약, 원래 단어가 –y로 끝난다면, 복수형에서는 –.. 부정관사 a/an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관사라니... 어려운 문법 용어라서 쉽게 이해가 안 되실 텐데요. 아마 영어로 쓰인 문장에서 이러 경우를 많이 보셨을 겁니다. ‘a desk, a boy, a question, an hour, an animal...’ 이렇게 단어중에서도 명사 앞에 쓰인 a 혹은 a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문법 용어로는 부정관사라고 합니다. 오늘 알아볼 부정관사는 a 혹은 an을 씁니다. 왜 이렇게 분류하냐구요?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와 쓸 때는 a를 쓰고,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와 쓸 때는 an을 씁니다. 예를 들어, a desk / a computer / a smartphone an animal / an umbrella / an engineer 이렇게 자음.. 소유대명사 보충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유대명사를 보충해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이전에 소유대명사에 대해서 배운 적이 있는데, 그 포스팅에서는 단순히 mine, his, hers와 같이 대명사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그런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체적인 인물이 누구인지를 나타내는 소유대명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식입니다. my brother’s, Amy’s, Mr Sheldon's….처럼…. 인물의 구체적인 이름이나 호칭을 소유대명사로 만드는 문법이죠. 이때는 인물의 이름이나 호칭 뒤에 ‘s를 써주시면 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This house is my uncle’s. 이 집은 나의 삼촌 집이야. 이 집의 소유자가 나의 삼촌이라는 것을 알리는 내용의 문장입니다. 삼촌을 의미하는 uncle이.. 재귀대명사, each other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귀대명사라는 문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귀대명사란 ‘행위를 하는 주어와 그 동작의 대상인 목적어가 동일할 때 쓰는 대명사’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건 제가 공부하면서 내린 정의입니다. 사전에는 어떻게 나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따라서 주어와 동일한 대상을 목적어로 쓰고자 할 때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쓰는 일을 피하기 위해서 만든 대명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법적 설명이 너무 길고 어려우시다면 이런 설명에 집착하지 마시고, 예문을 통해 이해하셔도 좋습니다. 먼저 표를 통해 기본적인 형태부터 알아보겠습니다. I myself He himself She herslef It itself We ourselves You yourselves They themselves.. 소유 대명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소유격 형용사에 이어서 소유대명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유격 형용사가 명사와 함께 쓰인다면, 소유대명사는 그 자체가 명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함께 쓰는 명사가 따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소유대명사를 사용하신다면, 여러분이 문장을 구사하실 때 훨씬 경제적이고, 간단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표를 통해서 기본적인 형태를 알아보겠습니다. I mine He his She hers We ours You yours They theirs 어제 배운 소유격 형용사와 비슷한 단어들이 종종 보입니다. 그리고 mine을 제외한 단어들이 전부 다 –s로 끝난다는 공통점도 보입니다. 주의할 점은 단어들이 -s로 끝난다고 해서 복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럼 이제 예문을 .. 소유격 형용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유격 형용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생소한 문법 용어 때문에 어렵고 낯설게 느껴지실 수도 있지만, 지금까지 여러분은 많이 보셨을 겁니다. 예를 들자면, my, your, our과 같은 단어들이죠. 먼저 표를 통해 소유격 형용사의 기본적인 형태부터 알아보겠습니다. I my He his She her It its We our You your They their 그렇다면 이 소유격 형용사는 언제 쓰일까요? 어떤 대상이 누구의 것인지를 나타내고자 할 때 쓰이죠. 우리말로 해석하자면, ‘나의 집, 우리의 학교, 그녀의 책...’이런 식으로 해석됩니다.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한다는 특징이 있는데, 소유격 형용사 또한 형용사이기 때문에 명사를 수식하는 용도로 쓰입니다. 명사의 바로 앞.. 목적격 대명사 (me, him, her it...)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동사가 아닌, 목적격 대명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목적격 대명사가 어떻게 생겼는지 기본적인 형태부터 표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 me He him She her It it We us You you They them 아마 많이 보셨을 겁니다. 그렇다면 이 목적격 대명사는 언제 쓰일까요? 목적어를 대신 나타낼 때 쓰입니다. 우리말로 해석하자면, ‘나를, 너를, 그를, 그녀를, 그것을...’과 같은 의미로 해석될 때 쓰이는 대명사죠. 같은 명사를 두 번 반복해서 쓰고 싶지 않기 때문에 이 목적격 대명사가 생겨난 것입니다. 예문을 통해 실제 사례를 보시겠습니다. He waits for me. 그는 나를 기다린다. 여기서 보시면 문장에서 ‘나’라는 존재가 등장하긴 했는데.. 이전 1 2 3 4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