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5)
there is... there are...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내가 과거에 했던 일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잘 이해하셨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또 새로운 내용을 배울 예정입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주어가 먼저 등장하지 않는 문장에 관한 내용입니다. 바로 ‘~이 있다.’ 혹은 ‘~이 없다.’와 같은 표현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유도 부사를 써서 문장을 시작합니다. 바로 there인데요. 전체 문장의 시작은 there 다음에 be동사를 함께 써서 나타냅니다. 즉, 사물이 단수일 땐 ‘there is’, 복수일 땐 ‘there are’라고 쓰면 되는 것이죠. 그럼 기본적인 어순을 먼저 보고, 예문을 통해 이 표현들을 어떻게 쓰는지 알아보겠습니다. There is a book / a toy / a tree / something /..
~하곤 했었다 : used to ...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거에 있었던 일이나 과거의 상태에 대해 말하는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동사 use to를 사용한 표현인데요. 해석은 ‘~하곤 했었다’, ‘~이었었다’라고 해석하며,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의미까지 포함합니다. 다시 말해 ‘예전엔 ~했었는데 or ~였었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라는 문장이 되는 것이죠. 그리고 이 문장은 단순히 과거에 있었던 일을 표현하는 문장이 아니라 습관처럼 과거에 자주 했던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단순 과거형과는 비교되는 문장입니다. 먼저 표를 통해 기본적인 어순을 알아보겠습니다. I used to work / watch / eat / be / have / live / do / like... He used to work / watch / ..
명령문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까지 조동사에 관한 내용을 모두 끝냈습니다. 저와 함께 제 포스팅을 통해 조동사를 공부하셨던 모든 분께서 어려운 내용을 잘 이해하셨기를 바랍니다. 그럼 이번 포스팅부터는 새로운 내용을 공부해보겠습니다. 오늘은 상대방에게 특정한 행동을 하라고 요구하는 내용의 문장인 명령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우리가 기초 수준에서 알아볼 명령문은 크게 3가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1. ~을 해라 : 어떤 특정한 행동을 하라고 요구할 때 쓰이는 명령문입니다. 2. ~을 하지 마라 : 1번의 경우와는 반대로 어떤 특정한 행동을 하지 말라고 요구할 때 쓰이는 명령문입니다. 3. ~을 하자 : 이 경우는 상대방에게만 어떤 행동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말하는 나와 함께 그 행동을 하자고 할 때 쓰..
Would like to의 의문문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would like to의 의문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평서문과 부정문에 대해서는 다들 잘 이해하셨나요? 혹시 제 설명에 부족한 점은 없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부족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would like to의 의문문은 상대방에게 무언가를 권할 때 사용되는 질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난 포스팅에서 공부했듯이, would를 사용하여 의향을 나타내는 문장은 정중함과 공손함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의문문에서도 정중하고 공손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would like 다음에는 동사가 올 수도 있고, 명사가 올 수도 있는데, 어떤 단어가 등장하느냐에 따라 문장의 기본적인 구성이 조금 달라집니다. 그런데 정말 말 그대로 조금이니 걱정마세..
조동사 Would like to~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을 포함하여 다음 포스팅까지는 드디어 조동사의 마지막 포스팅이 되겠군요. 이제까지 조동사에 대해서 배웠던 내용들은 어떠셨나요? 공부를 하면서 했던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조동사는 의미는 비교적 명확한데, 조동사에 따라 그 강도가 달라서 그 강도를 구분하는 일이 번거롭다고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 여러분도 공부를 하시면서 그런 생각을 하신 적이 있나요? 그럼 오늘은 조동사의 마지막 포스팅으로 무언가 원하는 것을 예의바르게 말할 때 쓸 수 있는 표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마 여러분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조동사 would가 포함되는 문장이죠. ‘I would like to~.’라고 말하거나 ‘Would you like to~?’라고 하는 문장입니다. 이러한 문장을 ..
have to의 의문문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 우리는 must와 동일한 뜻의 have to의 평서문과 부정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두 표현은 뉘앙스의 차이가 있을 뿐, 뜻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해하는 것이 크게 어렵진 않으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have to의 의문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의문문은 부정문처럼 do와 does를 사용합니다. 응답 또한 do와 does를 사용하고요. 예문을 통해 실제 문장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Do I have to go / come / do / work / stay / speak / get... Does he have to go / come / do / work / stay / speak / get... Does she hav..
I have to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까지 should에 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정확히 이해하셨나요? 이번 포스팅부터는 새로운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have to라고 하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must와 같은 의미를 가진 표현입니다. 의무적인 일, 꼭 해야 하는 일을 나타내는 표현이죠. 그런데 must와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어떤 때에 표현하느냐 하는 것인데, must의 경우는 나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는 일을 표현할 경우 have to는 나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는 일과 포함되지 않는 일 모두를 표현할 경우 에 씁니다. 예를 들어, This food is so delicious. You must try it. / You have to try it. 이 음식 정말 맛있어. 너 이거 꼭 먹어봐야 해...
should의 부정문과 의문문 (보충 표현, ought to)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should에 대해서 계속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평서문을 알아보았으니,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정문과 의문문 그리고 should를 사용한다른 표현들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부정문의 어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 should not (shouldn't) do / work / study / go / come / buy / have... He should not (shouldn't) do / work / study / go / come / buy / have... She should not (shouldn't) do / work / study / go / come / buy / have... It should not (shouldn't) ..